카카오 먹통 사태로 혼란한 틈을 노린 사이버 공격, 조심하셔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문자 사기 '스미싱' 사례가 포착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도 카카오 서비스 장애를 악용한 해킹 메일과 스미싱 문자가 유포되고 있다며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를 사칭해 이메일을 보낸 뒤 카카오톡 설치파일을 위장한 악성 프로그램 설치 유도하는데, 진짜 파일명 같죠? <br /> <br />별 의심 없이 파일을 내려받아 실행했다가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 계정 정보가 유출되거나 해킹 피해를 당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사이트는 긴급 차단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문자 메시지도 주의하셔야 합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톡 장애로 사용자 확인을 한다며, 카카오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유도하기도 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때 악성 앱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금융 정보 등이 노출돼 금전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공공기관 '알림 톡'을 사칭해 카카오 서비스를 다시 설치하라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하는데요. <br /> <br />첨부된 링크를 누르면 악성 앱이 설치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진짜 카카오톡 알림톡에는 카카오톡 인증마크가 포함돼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스미싱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클릭 유도 링크는 일단 의심하고, 연결된 사이트 주소가 정상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메일 역시 출처가 불분명한 첨부 파일은 열어보지 않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또 피해 예방을 위해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바이러스 백신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 역시 공지를 통해 "장애 복구 과정에서 별도의 파일 설치 요구나, 새로운 사이트에 로그인을 요구하지 않는다"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발신자가 불분명한 클릭 유도 문자나 이메일은 바로 삭제하는 것도 피해를 막는 방법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또 만약 악성 코드에 감염되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면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에 신고하고 조치를 받는 게 좋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01912285010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